Severity: Notice
Message: Undefined index: HTTP_ACCEPT_LANGUAGE
Filename: libraries/user_agent_parser.php
Line Number: 226
Severity: Warning
Message: Cannot modify header information - headers already sent by (output started at /home/dcoms_webd2/public_html/_system/core/Exceptions.php:185)
Filename: core/Input.php
Line Number: 286
Severity: Notice
Message: Undefined index: HTTP_ACCEPT_LANGUAGE
Filename: libraries/user_agent_parser.php
Line Number: 226
Severity: Warning
Message: Cannot modify header information - headers already sent by (output started at /home/dcoms_webd2/public_html/_system/core/Exceptions.php:185)
Filename: libraries/Session.php
Line Number: 688
제목 | Secure-D Basic 관련 기술 자료(1) | ||
---|---|---|---|
작성자 | 관리자 | 2015-12-14 | 1799 |
최초의 환자 암호는 로마 시대의 Julius Caesar가 사용한 Caesar 암호로, 이 암호 방식은 평문의 각 문자를 우측으로 3문자씩 이동시켜 그 위치에 대응하는 다른 문자를 치환함으로써 평문을 암호문으로 변환하는 암호 방식입니다. 즉, 환자 방식의 고전적인 사례는 로마 제국의 시저(기원전 100-44)의 죽음과 관련해서 발견되는데, 시저는 가족과 비밀통신을 할 때 각 알파벳 순으로 세자씩 뒤로 물려 읽는 방법으로 글을 작성했습니다. 즉 A는 D로, B는 E, C는 F로 계속해서 Z는 C로 평문을 암호문으로 치환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의 암호문에서 평문으로 복호화하는 방법은 암호화의 역처리, 즉 암호문 문자를 좌측으로 3 문자씩 이동시키면 간단히 평문을 복호화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어느날 시저에게 가족이 보낸 긴급통신문이 전달되었는데, 내용은 다음과 같았습니다. "EH FDUHIXOIRU DVVDVVLQDWRU." 각 알파벳마다 세자씩 당겨 읽어 암호문을 풀자 다음과 같은 문장이 나타났는데 "BE CAREFUL FOR ASSASSINATOR" 즉 "암살자를 주의하라"는 내용이었습니다. 환자 방식은 생각하기에 따라 글자 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전환될 수 있습니다. 1차대전(1914-1918)의 전설적인 독일 여첩보원 마타하리는 악보를 암호로 만들어 사용했습니다. 마타하리는 1차대전 이전 파리에서 댄서로 일하면서 타고난 미모와 독특한 춤으로 사교계에 명성을 떨치고 있었다고 합니다. 1914년 마타하리는 암스테르담 독일 영사로부터 스파이로 활동할 것을 권유받았고, 마타하리는 일명 '첩보원 H21'이란 이름으로 프랑스 장교에 접근해 군사기밀 정보를 독일에 빼돌렸습니다. 이때 비밀통신에 사용된 암호가 악보였고 일정한 형태의 음표에 알파벳 하나씩을 대응시킨 형태였습니다. 얼핏 보기에 평범한 악보처럼 보이지만 실제로 연주하면 전혀 '음악'이 되지 않았습니다. 마타하리의 첩보활동은 20여만명에 달하는 프랑스군을 죽음으로 몰고 갔다고 합니다. 이번 글은 여기에서 마무리하고 다음에는 근대암호에 대해 기술하도록 하겠습니다.
번호 | 제목 | 작성자 | 등록일 | 조회 |
---|---|---|---|---|
8 |
관리자
|
2016-01-20 | 1834 |
|
7 |
관리자
|
2015-12-31 | 1399 |
|
6 |
관리자
|
2015-12-30 | 1471 |
|
5 |
관리자
|
2015-12-23 | 1660 |
|
4 |
관리자
|
2015-12-17 | 1561 |
|
3 |
관리자
|
2015-12-15 | 1872 |
|
![]() |
관리자
|
2015-12-14 | 1800 |
|
1 |
관리자
|
2015-12-14 | 1292 |